@WebMvcTest를 진행시 Header에 Authorization을 할당 할 경우 아래 처럼 SecurityRequirements는 다양한 형태로 생길 수 있다.

근데 똑같이 헤더 이름을 지정하고, 테스트용 토큰 문자열을 할당하는데, 어떻게 아래처럼 다양한 결과를 맞을 수 있을까?

 

일단 스웨거 UI에서 우측 상단 아래에 있는 버튼을 활성화하려면 JWT_BEARER이어야 한다.

그 외 OAUTH2 관련 스펙을 정의하는건 별도 설정을 통해서 가능한데,

우선 나는 활성화를 하고 싶은데 안되어서,

securityRequirements의 type을 결정하는건 대체 누가 해주나 싶어서 찾아 보았다.

 

결과는 아래와 같다.

 

토큰의 페이로드에 오는 데이터의 형태에 따라 결정된다고 보면 된다.

scope가 포함된 토큰을 사용시에는 OAUTH2로 형태가 지정되고,

그게 아닌 경우 JWT_BEARER,

토큰은 있으나, 형태가 불분명하면, null로 처리되더라.

jwt 토큰 검증 관련 테스트는 별개로 하고,

mvcTest의 테스트 코드에 jwt처리하는 부분을 모킹하고 아무 토큰이나 주워다 넣었는데,

하필 그게 OAUTH2 토큰이었고,

별거 아닌곳에서 헤매게 되었지만, 나름 기능상 중요한 사실을 알게된 시간.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31534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 코드를 입력하세요 

select a.YEAR
     , a.MONTH * 1 as MONTH
     , count(a.USER_ID) as PUCHASED_USERS
     , round(count(a.USER_ID)/(select count(u.USER_ID) from USER_INFO u where date_format(u.JOINED, '%Y') = '2021'), 1) as PUCHASED_RATIO
  from (
        SELECT distinct b.USER_ID
             , date_format(b.SALES_DATE, '%Y') YEAR
             , date_format(b.SALES_DATE, '%m') MONTH
             , date_format(b.SALES_DATE, '%Y-%m') YM
          from ONLINE_SALE b
         inner join USER_INFO u
            on b.USER_ID = u.USER_ID
           and date_format(u.JOINED, '%Y') = '2021'
       ) a
 group by a.YM
 order by YEAR, MONTH

# select a.YEAR
#      , a.MONTH * 1 as MONTH
#      , count(distinct a.USER_ID) as PUCHASED_USERS
#      , round(count(distinct a.USER_ID)/count(distinct b.USER_ID), 1) as PUCHASED_RATIO
#   from (
#         SELECT distinct b.USER_ID
#              , date_format(b.SALES_DATE, '%Y') YEAR
#              , date_format(b.SALES_DATE, '%m') MONTH
#              , date_format(b.SALES_DATE, '%Y-%m') YM
#           from ONLINE_SALE b
#        ) a
#  inner join USER_INFO b
#     on date_format(b.JOINED, '%Y-%m') <= a.YM
#    and b.GENDER is not null
#  group by a.YM
#  order by YEAR, MONTH

 

문제 제대로 안읽음;;

이게 레벨 5던데, 문제 자체가 그냥 헷갈림...내가 대충 읽은건가;;

첨에 아래 쿼리 만들었는데,,

아래 쿼리는 (매월 구매회원 / 매월 회원수)을 구하는거임...아 이정도 되니까 레벨5 구나 싶었음.

근데 아무리 돌려도 정답이 아니라길래;;

뭐 2021년 회원 중...이라는;; 이걸 읽지도 않고, 반올림 하는것도 안읽고;;

 

위 쿼리에선 스칼라서브쿼리를 사용하였다, 2021년 이라는 데이터에 대해서 반복적으로 가져올테니, 매 행마다 실행하는게 아니라,

한번 실행하고 메모리에 올려두고 재사용할테니 요게 더 빠를 거라 판단,

 

아래 쿼리의 경우 매년 매월 이라는 그나마 좀 다양한 경우의 수가 있기에, 범위가 커질수록 스칼라서브쿼리가 불리할거라 판단했고,

조인을 통해 가져오는 영역은 count(distinct b.USER_ID) 뿐일거라, 범위의 데이터를 통으로 가져오는게 아니라, 저걸 위한 데이터를 알아서 옵티마이저가 잘 연산해 주겠지 하는 막연한 믿음으로 작성한 쿼리,

동등 조인이 아니기에 일반적인 상황에선 쓰일수 없는 쿼리;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31532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 코드를 입력하세요
SELECT date_format(b.SALES_DATE, '%Y') as YEAR
     # , cast(date_format(b.SALES_DATE, '%m') as unsigned) as MONTH
     , date_format(b.SALES_DATE, '%m')*1 as MONTH
     , a.GENDER
     , count(distinct a.USER_ID)as USERS
  from USER_INFO a
 inner join ONLINE_SALE b
    on a.USER_ID = b.USER_ID
 where a.GENDER is not null
 group by date_format(b.SALES_DATE, '%Y%m'), a.GENDER
 order by YEAR, MONTH, GENDER, USERS

 

프로그래머스 쿼리 문제가 난도가 낮은편 인거 같다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31116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select r.CATEGORY
     , r.PRICE as MAX_PRICE
     , r.PRODUCT_NAME
  from (
        select @rank := if(@cate = t.CATEGORY, @rank + 1, 1) as num
             , @cate := t.CATEGORY
             , t.CATEGORY
             , t.PRICE
             , t.PRODUCT_NAME
          from (
                SELECT a.PRODUCT_ID
                     , a.PRODUCT_NAME
                     , a.PRODUCT_CD
                     , a.CATEGORY
                     , a.PRICE
                  from FOOD_PRODUCT a
                 where a.CATEGORY in ('과자', '국', '김치', '식용유')
                 order by a.CATEGORY, a.PRICE desc
               ) t
       ) r
  where r.num = 1
 order by r.PRICE desc
 
 
 select t.CATEGORY
     , t.PRICE as MAX_PRICE
     , t.PRODUCT_NAME
  from (
        SELECT a.PRODUCT_ID
             , a.PRODUCT_NAME
             , a.PRODUCT_CD
             , a.CATEGORY
             , a.PRICE
             , rank() over(partition by a.CATEGORY order by max(a.PRICE) desc) as r
          from FOOD_PRODUCT a
         where a.CATEGORY in ('과자', '국', '김치', '식용유')
         group by a.PRODUCT_ID
       ) t
 where t.r = 1
 order by t.PRICE desc

 

 

두가지 버전,

MYSQL 8부터 오라클 처럼 partition by를 지원하는 윈도우 함수가 가능하다. 핵 편함.

 

하지만, 5.7까지는 안되니깐, 여기선 변수를 사용한 처리가 가능하다.(자료구조상 사이즈 1개 짜리 큐를 이용하는 느낌?)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31537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SELECT left(SALES_DATE, 10) as SALES_DATE
     , PRODUCT_ID
     , USER_ID
     , SALES_AMOUNT
  from ONLINE_SALE A
 where left(SALES_DATE, 7) = '2022-03'
 UNION ALL
SELECT left(SALES_DATE, 10) as SALES_DATE
     , PRODUCT_ID
     , null
     , SALES_AMOUNT
  from OFFLINE_SALE A
 where left(SALES_DATE, 7) = '2022-03'
 order by SALES_DATE, PRODUCT_ID, USER_ID

SELECT date_format(SALES_DATE, '%Y-%m-%d') as SALES_DATE
     , PRODUCT_ID
     , USER_ID
     , SALES_AMOUNT
  from ONLINE_SALE A
 where SALES_DATE between date('2022-03-01') and date('2022-03-31')
 UNION ALL
SELECT date_format(SALES_DATE, '%Y-%m-%d') as SALES_DATE
     , PRODUCT_ID
     , null
     , SALES_AMOUNT
  from OFFLINE_SALE A
 where SALES_DATE between date('2022-03-01') and date('2022-03-31')
 order by SALES_DATE, PRODUCT_ID, USER_ID

 

하나는 스트링 함수로 하나는 데이트 함수로

일단 너무 궁금했고, 물리적으로나 논리적으로 최대값이 있지 않을까? 라는 점에서 출발한 질문이다.

답은 없다. 각 MySQL 버전 또는 OS 환경에 따라 달라진다.

 

InnoDB에서 별다른 설정없이 페이지의 크기는 기본값 16KB다.

그렇다면 일반적으로 단일 레코드 기준 최대값은 페이지 크기의 절반인, 8KB가 되겠다.

 

단, 페이지 크기를 초과하는 레코드도 있긴한다. 그런 경우 알아서 잘 여러 페이지로 분할한다는데,

그건 난 모르겠고, 중요한건 그럴경우 당연하게도 오버헤드가 발생할거고, 느려지겠지?

 

자 여튼 그리고 행의 수를 결정하는건 "테이블스페이스 / 페이지크기" 인데

테이블스페이스는 8 기준 144TB, 5.7 기준 64TB 라고 한다. 

 

와 그럼 대충 계산해 보면 어마어마한양의 레코드가 입력 가능하다는 거다.

(앗, 근데 다중 테이블스페이스도 가능하다는데, 그럼 어떻게 되는거지?!)

 

물론 실제로 저걸 다 쓴다면 매우 느리겠지만, 그러니까 파티셔닝도 필요하고...또...여기까지(아는게..)

 

페이지가 뭔지 모른다면?!

페이지는 테이블보다 작은 단위, 페이지가 모여서 테이블이 된다고 생각하면 됨.

레코드보다는 큰 단위 혹은 같거나.

레코드나 테이블(물론 MySQL은 테이블이 파일 단위이긴 하지만, 테이블스페이스)이 논리적 단위라면, 페이지는 물리적 단위 이다.

 

그냥 문득 궁금해서 찾아본건데, 나름 지식을 얻은거 같아서 기분 좋음.

왜 이게 궁금했는지는 기억 안남.

 

질문에 대한 답은 (지)PT샘이 해줬음.

정말 이름 처럼 지식을 퍼스널 트레이닝 시켜주는 분 인거 같다.

알면서 귀찮아서 안했던 작업

 

AWS쓰면 CodeDeploy 통해서 그나마 쉽게 할 수 있을것 같은데,

젠킨스 써도 쉽게 할 수 있겠지?

 

젠킨스에서 쉽게 하는 방법 저는 잘 몰라용.

그냥 서버 여러군데 배포할때 한방에 하는 방법

여러개 돌아가며 누르는것도 괜찮지만, 그것마저 귀찮은게 사람이니까.

특히나, L4 스위칭까지 하려면 여간 귀찮은게.

 

물론 git에서 웹훅 날려서 하는 방법도 있긴한데, 막 모델이나 데이터 같은거 변경되었을때 이러면 위험하니까

클릭으로 하는 방법!

요거 하나 누르면 땡!

 

일단 현재 회사에서는 L4에서 특정 REST API의 상태값을 통해 연결할지 말지 여부를 결정짓는다.

그래서 해당 상태값을 "점검"으로 바꿔주면 해당 WAS로 연결은 끊기고 배포가 가능하다는 점.

 

젠킨스에서 보통 프로젝트 만들어서 하는 것과 과정은 유사하다.

  1. Git Clone
  2. 빌드
  3. 배포 및 실행

여러 WAS에 배포하기 위해 상태를 확인하고, 변경하는 작업이 추가로 들어가면 될것 같다.

 

젠킨스에서 제공해주는 파이프라인 스크립트는 두가지 방식으로 작성 할 수 있다.

  • 선언적 파이프라인 => 여기선 이걸로 진행한다. pipeline { } 이 감싸고 있음.
  • 스크립티드 파이프라인(노드) => 얘가 뭔가 간단해 보이는데, 담에 시간날때 시도해 봐야지, 다음 생에...

 

New Item 해서 Pipeline 선택하고 다음으로 넘어가면! Pipeline 란 하단에 Pipeline Syntax 라는 링크가 있다. 요 녀석을 눌러서 페이지에 가보면 파이프라인 스크립트 작성에 도움을 주는 툴이 있는걸 확인 할 수 있다. 제네레이터.

 

기본적은 스크립트는 위 처럼 자동으로 생성 할 수 있다.

  • agent
    • 스크립트를 실행할 에이전트를 지정하는데, 라벨로 지정이 가능하며, any로 하면 그냥 됨.
  • 구조
    • stages > stage > steps 이며, 별도로 jenkins에서 제공해주는, environment, tools 등을 사용 할 수 있다.
    • 이 부분은 Declarative Directive Generator 에서 생성 가능하다.
    • tools 같은게, 선언적 파이프라인과 스크립티드 파이프라인에서 쓰는 작성 법이 다르더라.
    • 각 스테이지의 이름은 알아보기 쉽게 작성하는게 좋긴하다.
    • Git Clone과 Publish on SSH에서 사용하는 Credential 관련된 정보는 사전에 등록해두면 제네레이터에서 사용 가능하다.
  • Git Clone 작성

제네레이터를 이용해 작성해 보자, 빈칸만 채우면 된다.

  • 빌드
    • 위와 마찬가지로 제네레이터를 이용해 tools의 Gradle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gradlew를 사용하면 더 편하다.
    • 보통 젠킨스가 설치된 서버 특성상 자바 버전도 여러개 일거고, 그런거 선택 자체를 gradlew 안에 넣어두면 더 용이하다.
  • 체크 및 스위칭 
    • 이건 CURL을 활용해서 하면 된다.
    • 결국 쉘 스크립트를 실행하는건데, 제네레이터의 script를 써서 쉘을 실행 할 수 있다.(groovy 문법이라고 한다. 얼핏 본거 같은데...)
    • 추가적으로 curl을 통해 얻어오는 Json값을 어떻게 가져올까 하고 grep 명령어 옵션을 엄청 찾았는데, jq 라는 간단한 커맨드 처리자가 있다. 대부분의 OS를 지원하고, 사용법도 간단하다. https://stedolan.github.io/jq/
script{         
    TOKEN = sh (
        script: '''
            curl -X POST "https://domain/user/sign-in"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email":"email@account.com", "password":"xxxxxxxx", "remember": "false"}' | jq '.response.accessToken'
        ''',
        returnStdout: true
    ).trim()
}
  • 배포
    • 배포는 젠킨스의 publish on ssh를 사용했다.
    • 물론, 이것도 제네레이터를 사용해 작성 가능하다.
sshPublisher(
    publishers: 
        [
            sshPublisherDesc(
                configName: '설정된 SSH 접속 대상 서버 이름', 
                transfers: 
                    [
                        sshTransfer(
                            cleanRemote: false, 
                            excludes: '', 
                            execCommand: '''
                                            bash deploy.sh // 실행할 쉘 내용?
                                        ''', 
                            execTimeout: 120000, 
                            flatten: false, 
                            makeEmptyDirs: false, 
                            noDefaultExcludes: false, 
                            patternSeparator: '[, ]+', 
                            remoteDirectory: '파일을 업로드 할 폴더', 
                            remoteDirectorySDF: false, 
                            removePrefix: 'build/libs', // 제거할 프리픽스
                            sourceFiles: 'build/libs/result.jar' // 업로드할 파일
                        )
                    ], 
                usePromotionTimestamp: false, 
                useWorkspaceInPromotion: false, 
                verbose: true // 과정을 로그로 출력한다.
                )
        ]
    )

처음 해보면 어려울 수도 있겠지만, 단계적 절차를 밟아가며 수정 보완하며 작성하다보면 결국 잘 되기 마련이다.

이러한 파이프라인 코드를 Git에 올려두고 수정 & 사용 하는 것도 가능하다.

 

  • 작성 결과
pipeline {
    agent any

    stages {
        
        stage('git clone') {
            steps {
                git branch: '${branch}', credentialsId: '${credentialsId}', url: '${git_url}'
            }
        }
        
        stage('build') {
            steps{
                sh '''
                    echo build start
                    ./gradlew clean build
                    echo build end
                '''
            }
        }
        
        stage('get Token') {
            steps {
                script{
                    
                    TOKEN = sh (
                        script: '''
                            curl -X POST "https://domain/user/sign-in"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email":"email@domain.com", "password":"xxxxxxxx", "remember": "false"}' | jq '.response.accessToken'
                        ''',
                        returnStdout: true
                    ).trim()
                    
                }
            }
        }
        
        stage('check status server1') {
            steps {
                script{ 
                    HTTP_CODE_GET = "200"
                    while(HTTP_CODE_GET == "200"){
                        
                        HTTP_CODE_POST = sh (
                            script: """
                                curl -X PATCH "http://server1ip/config/loadBalance/server1ip"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H "authorization: Bearer $TOKEN" -o /dev/null -w "%{http_code}"
                            """,
                            returnStdout: true
                        ).trim()
                        
                        sleep 5
                        
                        HTTP_CODE_GET = sh (
                            script: '''
                                curl -o /dev/null -w "%{http_code}" "http://server1ip/config/isMaintenance"
                            ''',
                            returnStdout: true
                        ).trim()
                        
                        echo "${HTTP_CODE_GET} while"
                    }
                    
                    sleep 45
                        
                }
                echo "${HTTP_CODE_GET} break"
            }
        }
        
        stage('publish on ssh for server-1') {
            steps {
                sshPublisher(
                    publishers: 
                        [
                            sshPublisherDesc(
                                configName: '${Server1}', 
                                transfers: 
                                    [
                                        sshTransfer(
                                            cleanRemote: false, 
                                            excludes: '', 
                                            execCommand: '''
                                                            bash deploy.sh;
                                                        ''', 
                                            execTimeout: 120000, 
                                            flatten: false, 
                                            makeEmptyDirs: false, 
                                            noDefaultExcludes: false, 
                                            patternSeparator: '[, ]+', 
                                            remoteDirectory: '${remoteDir}', 
                                            remoteDirectorySDF: false, 
                                            removePrefix: 'build/libs', 
                                            sourceFiles: 'build/libs/deploy.jar'
                                        )
                                    ], 
                                usePromotionTimestamp: false, 
                                useWorkspaceInPromotion: false, 
                                verbose: true
                                )
                        ]
                    )
            }
        }
        
        stage('resotre status server1') {
            steps {
                script{ 
                    sleep 60
                    
                    while(HTTP_CODE_GET != "200"){
                        
                        HTTP_CODE_POST = sh (
                            script: """
                                curl -X PATCH "http://server1ip/config/loadBalance/server1ip"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H "authorization: Bearer $TOKEN" -o /dev/null -w "%{http_code}"
                            """,
                            returnStdout: true
                        ).trim()
                        
                        sleep 5
                        
                        HTTP_CODE_GET = sh (
                            script: '''
                                curl -o /dev/null -w "%{http_code}" "http://server1ip/config/isMaintenance"
                            ''',
                            returnStdout: true
                        ).trim()
                        
                        echo "${HTTP_CODE_GET} while"
                    }
                    
                    
                }
            }
        }
        
        
        stage('check status server2') {
            steps {
                script{ 
                    HTTP_CODE_GET = "200"
                    while(HTTP_CODE_GET == "200"){
                        
                        HTTP_CODE_POST = sh (
                            script: """
                                curl -X PATCH "http://server2ip/config/loadBalance/server2ip"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H "authorization: Bearer $TOKEN" -o /dev/null -w "%{http_code}"
                            """,
                            returnStdout: true
                        ).trim()
                        
                        sleep 5
                        
                        HTTP_CODE_GET = sh (
                            script: '''
                                curl -o /dev/null -w "%{http_code}" "http://server2ip/config/isMaintenance"
                            ''',
                            returnStdout: true
                        ).trim()
                        
                        echo "${HTTP_CODE_GET} while"
                    }
                    
                    sleep 45
                        
                }
                echo "${HTTP_CODE_GET} break"
            }
        }
        
        stage('publish on ssh for api-2') {
            steps {
                sshPublisher(
                    publishers: 
                        [
                            sshPublisherDesc(
                                configName: 'server2', 
                                transfers: 
                                    [
                                        sshTransfer(
                                            cleanRemote: false, 
                                            excludes: '', 
                                            execCommand: '''
                                                bash deploy.sh;
                                                ''', 
                                            execTimeout: 120000, 
                                            flatten: false, 
                                            makeEmptyDirs: false, 
                                            noDefaultExcludes: false, 
                                            patternSeparator: '[, ]+', 
                                            remoteDirectory: '${remoteDir}', 
                                            remoteDirectorySDF: false, 
                                            removePrefix: 'build/libs', 
                                            sourceFiles: 'build/libs/deploy.jar'
                                            )
                                    ], 
                                usePromotionTimestamp: false, 
                                useWorkspaceInPromotion: false, 
                                verbose: true
                            )
                        ]
                )
            }
        }
        
        stage('resotre status server2') {
            steps {
                script{ 
                    sleep 60
                    
                    while(HTTP_CODE_GET != "200"){
                        
                        HTTP_CODE_POST = sh (
                            script: """
                                curl -X PATCH "http://server2ip/config/loadBalance/server2ip"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H "authorization: Bearer $TOKEN" -o /dev/null -w "%{http_code}"
                            """,
                            returnStdout: true
                        ).trim()
                        
                        sleep 5
                        
                        HTTP_CODE_GET = sh (
                            script: '''
                                curl -o /dev/null -w "%{http_code}" "http://server2ip/config/isMaintenance"
                            ''',
                            returnStdout: true
                        ).trim()
                        
                        echo "${HTTP_CODE_GET} while"
                    }
                    
                    
                }
            }
        }
    }
}

'서버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 필요한거 한방에 조지기...  (0) 2022.02.17
[docker] 컨테이너에 접속하기  (0) 2022.02.17
Jenkins, Bitbucket(Git, private Repo)  (0) 2021.11.30
Linux Tomcat 설치 및 설정  (1) 2019.09.20

OCP와 DIP를 지키기 위해
인터페이스와 구현체를 분리하고 다형성을 갖게끔 하는게 좋은 코드란건 알겠고,
결국 인터페이스를 상속받고 필요한 구현체만 구현하면 된다는걸 다들 알겠다고 한다.
 
근데 정작 사용을 어떻게 하는지 대부분 모르는 것 같다.
 
 
일단 개인적으로 그다지 좋지 않은 코드의 예시다.

    public interface PayService {

        void pay();
    }

    private class PayKakaoService implements PayService {

        @Override
        public void pay() {

        }
    }

    private class PaySamsungService implements PayService {

        @Override
        public void pay() {

        }
    }

    private class PayNaverService implements PayService {

        @Override
        public void pay() {

        }
    }

    private PayService payKakaoService;
    private PayService paySamsungService;
    private PayService payNaverService;

    @Getter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enum PayType {
        Kakao, Samsung, Naver;
    }

    @PostMapping("/payment")
    public ResponseEntity<?> pay(PayType payType) {

        if (payType == PayType.Kakao) {
            payKakaoService.pay();
        }

        if (payType == PayType.Samsung) {
            paySamsungService.pay();
        }

        if (payType == PayType.Naver) {
            payNaverService.pay();
        }

        return ResponseEntity.ok().build();
    }

    // 실행
    void callPayTest() {
        this.pay(PayType.Samsung);
    }

위 코드의 단점이 뭘까? 분명 인터페이스도 썻고, 필요에 따라 구현체도 만들었고,
근데 저기에 앱쁠페이를 추가한다면? 구현체를 만들지만

public ResponseEntity<?> pay(PayType payType)

요기 안에 있는 if문을 추가해야 하지 않겠는가?!
 
이거는 DIP에 위배 되는게 아닌가? 싶기도 하고, 

PayService ps = null;

if (payType == PayType.Kakao) {
    ps = payKakaoService;
}

if (payType == PayType.Samsung) {
    ps = paySamsungService;
}

if (payType == PayType.Naver) {
    ps = payNaverService;
}

ps.pay();

아님 뭐 메서드 내 필드를 이용해서 이렇게 바꿀까? 이것도 뭐 크게 다른건 없다고 느끼는데,
그렇다고 싱글톤 기반의 빈에서 클래스 필드를 맘대로 교체할 수도 없는 노릇이고,
 
좀 더 고차원 레이어에 영향이 안가는 방법의 코드를 작성 할 수는 없을까?
 
있다, Enum과 Provider를 사용하면 된다.
Spring Container는 등록된 모든 Bean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다.
일단 등록되어 있으니 가져오는 것도 가능하다.
구조적으로는 위에 if문을 사용하는 것과 차이가 없지만,
 
적어도 인터페이스를 호출 하는 부분을 타입이나, 유형 때문에 바꿀 일은 없을 거다.
 
예시 코드 들어간다.
 
참고로 제 코드가 좋은 코드는 아닙니다용..제발...
 

    public interface PayService {

        void pay();
    }

    private class PayKakaoService implements PayService {

        @Override
        public void pay() {

        }
    }

    private class PaySamsungService implements PayService {

        @Override
        public void pay() {

        }
    }

    private class PayNaverService implements PayService {

        @Override
        public void pay() {

        }
    }

//    private PayService payKakaoService;
//    private PayService paySamsungService;
//    private PayService payNaverService;

    @Getter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enum PayType {
        Kakao(PayKakaoService.class), Samsung(PaySamsungService.class), Naver(
            PayNaverService.class);

        private final Class<? extends PayService> clazz;
    }

    public class PayServiceProvider {

        private static ApplicationContext applicationContext;
        private static Map<PayType, Class<? extends PayService>> payServiceMap = new HashMap<>();

        static {
            for (PayType payType : PayType.values()) {
                payServiceMap.put(payType, payType.getClazz());
            }
        }

        public static PayService service(PayType payType) throws Exception {
            Class<? extends PayService> payServiceClass = payServiceMap.get(payType);

            if (payServiceClass == null) {
                throw new Exception();
            }

            return applicationContext.getBean(payServiceClass);
        }
    }

    @PostMapping("/payment")
    public ResponseEntity<?> pay(PayType payType) throws Exception {

//        PayService ps = null;
//
//        if (payType == PayType.Kakao) {
//            ps = payKakaoService;
//        }
//
//        if (payType == PayType.Samsung) {
//            ps = paySamsungService;
//        }
//
//        if (payType == PayType.Naver) {
//            ps = payNaverService;
//        }
//
//        ps.pay();

        PayServiceProvider.service(payType).pay();

        return ResponseEntity.ok().build();
    }

    // 실행
    void callPayTest() throws Exception {
        this.pay(PayType.Samsung);
    }

일단, 해당 코드는 provider에서 사용하는 applicationContext에 대한 주입이 없긴하다.
요건 이제 @PostConstruct를 사용해서 주입하면 되긴합니다요.
물론 주입하는 함수도 provider에 static으로 만들어 줘야 합니다.
(대충 읽고 코드만 복붙하면 안되게 하려는 함정...)
 
대강 저런식이면, 앞으로 앱쁠페이든, 티머니든 추가되면 Enum과 구현체의 추가만으로 솔리드 뭐시기를 위배하지 않으면서 해결가능하지 않을까?
 
사실 Provider 구현하기 귀찮다.
유지 보수 측면에서는 좋긴하나, 처음 구현할때 걍 if else 쓰는게 백배 편하다.
시간 비용을 초기에 쓸거냐 나중에 쓸거냐 차이긴한데,
 
아래는 좀 더 편한 방법

private List<PayService> payServices;

@PostMapping("/payment")
public ResponseEntity<?> pay(PayType payType) throws Exception {

    payServices.stream().filter(payService -> payService.check(payType)).findFirst()
        .ifPresent(PayService::pay);
    return ResponseEntity.ok().build();
}

 
스프링은 주입시 배열로 필드를 선언하면 해당 인터페이스에 해당하는 빈들을 모두 가져 오는데요, 이걸 몰랐던건 아닌데, 이렇게 응용할 생각은 못 했네요. 멍청이...
 
아는분이 알려주신건데 아래 링크 통해 배우셨대요!
https://youtu.be/3MTf43_RcVM

 

문제가 된다면 삭제 하도록 할게요.

 

개인정보 교육 꼭 들어야 합니다!

하지만 이런 방법으로 패스도 가능하다는걸 알고 있다면 좋겠죠?

 

 

function goLast(){
	setTimeout(() => {  
    	window.document.getElementById('contentsFrame').contentWindow.document.getElementById('frame').contentWindow.document.getElementById('MPlayer').currentTime=999999
		setTimeout(() => {
			window.document.getElementById('contentsFrame').contentWindow.document.getElementById('frame').contentWindow.document.getElementsByClassName('next')[0].click();
		}, 1000)
	}, 2000)
}

window.document.getElementById('contentsFrame')
.contentWindow.document
.getElementById('frame')
.addEventListener('load', goLast, false);

goLast();

 

goLast 함수는 비디오 플레이어의 시간 컨트롤러의 값을 매우 크게 변경하고(종료지점으로), 넥스트 페이지 버튼을 클릭하게 해줌.

그리고 이 함수를 최초 실행하게하고, frame(iframe) load이벤트에 걸어둠.

다음페이지가 호출되고 frame의 내용이 변경되고 로드가 완료되면 다시 goLast를 실행하는 구조.

 

돔 구조만 파악하면 재미삼아 간단하게 짤 수 있는 코드,

 

실행은 개발자 도구의 콘솔에서...

 

현재 위 사이트는 body > iframe > iframe > video 와 같은 형태로 되어 있어요.

화면 기록 2022-11-29 오후 3.58.01.mp4
17.10MB

$ find . -type f|xargs grep -r --color=auto -i jenkins

형식이 파일인 것중 내용에 jenkins라는 문자열을 포함하고 있는걸 토해내라... 

'서버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14, 16 tomcat service 등록  (0) 2019.09.20
Ubuntu 계정 생성 및 sudo 권한 부여  (0) 2019.04.05

+ Recent posts